2022.02.15
최근 정부가 확진자 격리 의료폐기물을 생활폐기물로 전환한 것을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제기됐다. 확진자들의 의료폐기물이 생활폐기물과 함께 버려질 경우 안전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의료폐기물공제조합(이하 공제조합)은 15일 입장문을 내고 “코로나19 확진자에게서 발생한 폐기물을 생활폐기물로 처리할 경우 폐기물 처리의 정밀한 추적이 불가능하고, 당일 수거·운반·소각 처리되는 격리의료폐기물과 비교했을 때 안전성이 확보될지 의문이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대응해 검사·치료체계를 전환하고, 오는 2월 말까지 생활치료센터와 임시생활시설 확진자에게서 나온 격리의료폐기물을 생활폐기물로 전환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기존에 의료폐기물 전용 소각장에서 소각하던 코로나 확진자 발생 폐기물을 앞으로는 일반 가정에서 배출하는 폐기물과 함께 처리한다는 뜻이다. 이에 대해 공제 조합은 “의료폐기물 처리 업계는 코로나19 발생 직후부터 정부 지침에 따라 원활한 의료폐기물 처리 및 2차 감염 방지를 위해 만전을 기해왔고, 날로 증가하는 의료폐기물의 안정적인 처리를 위해 시설 확충은 물론 불철주야로 노력을 경주해 왔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업계의 사전 의견청취나 수렴 없이 이를 결정하고 어떠한 언질도 없어 당혹스럽다”고 지적했다.
한편, 폐기물관리법 ‘의료폐기물 처리에 관한 특례’에 따르면, 의료폐기물이 포화상태에 이르게 될 경우 상대적으로 위해성이 낮은 의료폐기물 일부를 지정폐기물 소각장으로 보낼 수 있다. 코로나19 관련 격리 의료폐기물 역시 의료폐기물 소각장에서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전종보 헬스조선 기자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2/15/2022021501616.html?ref=cash(헬스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