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3.28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26일 “싸워서 이기는 것은 군인정신이고, 정치는 지면서도 이기는 것”(박민식 후보 개소식)이라고 말했다. 공천 갈등 봉합에 관한 자찬이었다. 김 대표는 당초 친박근혜계 후보 5명에겐 절대로 공천을 주지 않겠다는 마지노선을 정해놓았다.
하지만 대구 동갑과 달성의 2명(정종섭·추경호)은 구제하고, 서울 송파을·은평을 및 대구 동을(유영하·유재길·이재만) 3명은 날리는 쪽으로 친박계와 타협했다.
미봉에 그친 결과는 27일 다양한 여진으로 나타났다. 이재만 전 대구동구청장은 기자회견을 열어 “김 대표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친박계 원유철 원내대표는 무소속 유승민·이재오 의원 등을 겨냥해 “무소속 당선자들은 (총선 후) 복당이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대표는 “타협으로 공멸은 막았다”는 입장이다. 새누리당 공천 갈등이 봉합된 지난 25일 4시간30분 동안의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선 무슨 일이 있었을까.
# 김무성, 오후 6시까지 버티기=이날 오전 11시30분부터 열린 최고위에 김 대표는 ‘팀워크’로 무장한 친박계 5인방(서청원·김태호·이인제 최고위원, 원유철 원내대표, 김정훈 정책위의장)을 상대해야 했다. 친박계 최고위원들은 초반부터 “공천안을 추인하라”며 김 대표를 압박했다.
김 대표는 선거관리위원회 후보 등록이 마감되는 오후 6시까지 6시간30분을 버티는 게 목표였다. 김 대표는 일일이 대꾸하지 않는 전략을 택했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김 대표는 계속 표정 없이 허공만 쳐다보고 있었다”고 전했다.
간혹 발언을 할 때도 아주 느리게 말을 했다고 한다. “여러 번…말…했지만…당헌·당규에 어긋나는…이런 식의 공천엔…도…저히…”란 식이었다. 더불어민주당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펼쳤던 ‘필리버스터링(합법적 의사진행방해)’을 방불케 했다는 말이 나왔다.
# 김 대표는 햄버거, 친박은 도시락=회의가 50분 정도 아무 소득 없이 진행되면서 식사 시간이 됐다. 친박·비박 진영은 식사도 따로따로 했다. 김 대표 등은 사무처 당직자들이 공수해 온 햄버거를 먹었다. 하지만 서청원 최고위원 등은 원 원내대표가 지시해 준비한 도시락을 들었다. 당직자들 사이에선 “식사도 계파별로 한다”는 얘기가 돌았다.
식사 이후에도 이견이 좁혀지질 않았다. 급기야 서청원·이인제 최고위원 등은 “말이 안 통한다” “최고위원을 그만두고 만다”고 두 손을 들어 회의가 정회에 이르렀다.
그런데 그때 김 대표와 원 원내대표가 따로 회의장 밖으로 나갔다. 원 원내대표가 김 대표에게 귀엣말을 했다. 결국 두 사람 사이에 “이재만·유재길 후보는 의결안에서 빼자”는 합의가 이뤄졌다. 회의 시작할 때부터 친박계는 “두 후보는 무조건 살려야 한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이런 상황에서 원 원내대표가 두 후보를 포기하는 ‘후진 기어’를 넣자 얘기가 풀리기 시작했다. 결국 최고위는 후보 등록 2시간 전인 오후 4시쯤 미봉책이긴 하지만 결론을 내놨다.
# ‘옥새’ 관리 총무국장은 연락 두절=회의 막판에 한 친박계 최고위원이 “2명만 살리면 청와대가 수용을 할까요?”라고 다시 제동을 걸었다. 이에 김을동 최고위원이 “청와대가 공천을 다 한다는 겁니까”라고 버럭 소리를 질렀다고 한다. 김 최고위원은 최고위 내 유일한 비박계였다. 내내 김 대표를 강하게 뒷받침해 비박계 내에선 ‘을동 장군’이란 별명도 붙었다.
김 최고위원밖에 우군이 없던 김 대표가 수적 열세에도 불구하고 버틸 수 있었던 배경엔 ‘옥새 전략’이 있었다. 공천장에 찍어야 하는 당인(黨印·새누리당 도장)과 당 대표직인을 말한다. 김 대표는 이를 어디엔가 숨겨뒀다는 뉘앙스를 풍기며 협상의 지렛대로 삼았다. 하지만 최고위원들이 회의 후에 확인한 결과 문제의 도장은 당사를 벗어난 적이 없었다. 원 원내대표는 “어쩐지 24~25일 내내 도장을 관리하는 당 총무국장의 전화기가 꺼져 있었다”고 말했다.
[출처: 중앙일보] [단독] 원유철 “이재만 빼도 좋다” 김무성에게 귀엣말 뒤 급반전